댓 슈가 필름은 데이먼 가메우가 60일 동안 설탕 섭취 실험을 진행한 과정을 담은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가메우는 호주인 평균 섭취량과 동일한 설탕을 '건강' 식품을 통해 섭취하며 체중 증가, 지방간, 무기력감 등 신체적, 정신적 변화를 겪었다. 영화는 설탕 과다 섭취의 위험성을 알리고, 휴 잭맨, 스티븐 프라이 등 배우들이 출연하며, 뉴욕 타임스 등에서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또한 한국 사회에 설탕 섭취의 문제점을 시사하며, 식품 관련 규제 및 정책에 대한 논의를 촉발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2014년 영화 - 다크 밸리 다크 밸리는 알프스 산맥을 배경으로 복수, 결투, 마지막 결전을 통해 마을의 변화를 암시하는 결말로 마무리되는 2014년 오스트리아-독일 합작 영화이다.
2014년 영화 - 디 인터뷰 2014년 개봉한 정치 풍자 코미디 영화 《디 인터뷰》는 김정은 인터뷰를 성사시킨 토크쇼 진행자와 프로듀서가 CIA의 암살 지령을 받으면서 벌어지는 소동을 그린 영화로, 북한의 반발, 해킹 사건, 테러 위협 속에 논란과 화제 속에 개봉하여 평범한 평을 받았다.
2014년 11월 20일 (IDFA), 2015년 6월 1일 (시애틀 국제 영화제), 2015년 7월 31일 (미국)
상영 시간
90분
국가
오스트레일리아
언어
영어
흥행 수익
150만 달러
2. 제작 배경
호주 배우이자 영화 감독인 Damon Gameau|데이먼 가메우영어는 설탕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 확인하고자 자신의 몸을 실험 대상으로 삼았다.[2][3] 그는 흔히 "건강을 생각한다"고 알려진 식품들에 숨겨진 설탕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정제 설탕이 거의 없는 평소 식단에서 하루 160g(티스푼 40개 분량)의 설탕을 섭취하는 식단으로 바꾸는 실험을 60일간 진행했다. 이는 일반적인 호주인의 평균 설탕 섭취량에 해당한다.
실험 기간 동안 가메우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설정했다.
정크푸드, 단 과자, 단 주스를 피했다.
대신 시리얼, 저지방 요구르트, 비타민 음료 등 일반적으로 "건강에 좋다"고 여겨지는 식품들을 주로 섭취했다. 이는 탄수화물 함량은 높고 지방 함량은 낮은 식품들이었다.
하루 섭취 칼로리는 실험 전과 동일한 2300kcal로 유지했다. (설탕 섭취로 인한 칼로리 포함)
실험 시작 전 가메우의 식단은 지방 50%, 단백질 26%, 탄수화물 24%의 비율이었으나, 실험 식단은 지방은 적고 설탕 함량이 높은 구성이었다. 실험 결과, 총 섭취 칼로리는 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가메우는 체중이 8.5kg 증가하고 허리둘레가 10cm 늘어났으며, 무기력증과 함께 지방간 진단을 받는 등 건강이 악화되는 경험을 했다.[10][11][12] 전문가들은 이러한 변화가 섭취한 설탕, 특히 과당 때문일 수 있다고 지적했으며, 인공 감미료 역시 건강한 대안이 아닐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 영화는 가메우가 직접 겪은 이러한 실험 과정과 결과를 기록한 다큐멘터리이다.
3. 실험 내용
호주 배우이자 영화 감독인 데이먼 가모는 설탕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자신의 몸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그는 평소 섭취하던 정제 설탕 없는 식단에서 벗어나, 지방은 적지만 설탕 함량이 높은 소위 '건강식품' 위주로 섭취하는 식단으로 변경했다. 이는 하루 평균 160g(티스푼 40개 분량)의 설탕을 섭취하는 것에 해당하며, 일반적인 호주인의 평균 설탕 섭취량과 유사한 수준이다. 이 실험은 60일 동안 진행되었으며, 실험 기간 동안 총 섭취 칼로리(2300kcal)와 운동량은 이전과 동일하게 유지했다.[2][3]
실험 결과, 총 섭취 칼로리가 동일했음에도 불구하고 가모의 체중이 증가하고 지방간이 발생하는 등 건강 상태가 악화되었다. 또한 정신적으로 무기력감을 느끼는 등 부정적인 변화도 경험했다.[10][11][12] 전문가들은 이러한 변화가 높은 수준의 설탕 섭취, 특히 과당 때문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영화는 식품 업계에서 사용하는 설탕의 최적 양을 의미하는 행복점(Bliss Point) 개념도 소개한다.
실험 종료 후 가모는 이전 식단으로 돌아갔고, 건강상의 문제들은 비교적 빠르게 회복되었다.
3. 1. 실험 조건
(과당 포함)
섭취 식품 종류
시리얼, 저지방 요구르트, 비타민 음료 등 소위 건강식품으로 알려진 저지방 고탄수화물 식품 위주로 섭취 (정크 푸드, 단 과자, 단 음료 제외)
실험 식단은 설탕 섭취에도 불구하고 총 칼로리 섭취량이 이전 식단과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설계되었다.[2][3] 가모는 실험 기간 동안 일반적으로 건강에 해롭다고 여겨지는 정크 푸드나 단 과자, 단 음료 대신, '건강을 생각하는' 식품으로 분류되는 저지방 고탄수화물 식품을 주로 섭취했다.
3. 2. 실험 결과
데이먼 가메우는 설탕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자신의 몸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그는 평소의 저설탕 식단에서 벗어나, 지방 함량은 낮지만 설탕 함량이 높은 소위 '건강식품'(시리얼, 저지방 요구르트, 비타민 음료 등) 위주로 섭취하는 식단으로 변경했다. 이는 하루 평균 160g(티스푼 40개 분량)의 설탕을 섭취하는 것에 해당하며, 일반적인 호주인의 평균 설탕 섭취량과 유사한 수준이다. 실험 기간 동안 총 섭취 칼로리(2300kcal)와 운동량은 이전과 동일하게 유지했다.[2][3]
60일간의 실험 결과, 가메우는 총 섭취 칼로리가 동일했음에도 불구하고 체중이 눈에 띄게 증가하고 지방간이 발생하는 등 건강 상태가 악화되었다. 또한, 정신적으로도 무기력감과 권태감을 느끼고 설탕에 대한 갈망이 커지는 등 부정적인 변화를 경험했다.[10][11][12] 전문가들은 이러한 변화가 높은 수준의 설탕 섭취, 특히 과당 때문일 수 있다고 지적하며, 인공 감미료 역시 건강한 대안이 아님을 시사했다.
영화는 식품 업계에서 제품의 매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설탕의 최적 양을 의미하는 행복점(Bliss Point)이라는 개념을 소개하기도 한다.
실험 종료 후, 가메우는 설탕 섭취를 중단하고 실험 이전의 식단(고기, 채소, 아보카도, 견과류 등)으로 돌아갔다. 그 결과, 실험으로 인해 나타났던 건강상의 문제들은 비교적 빠르게 회복되었다.
3. 2. 1. 구체적인 변화
데이먼 가모는 60일간의 설탕 섭취 실험을 통해 여러 신체적, 정신적 변화를 겪었다. 실험 전과 동일한 칼로리(2300kcal)를 섭취하고 운동을 지속했음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변화가 나타났다.
데이먼 가모의 신체 변화 (60일 실험 결과)[10][11][12]
구분
구체적인 변화 내용
체중 및 체형
건강 지표
정신 및 신체 상태
전문가들은 이러한 변화가 높은 수준의 설탕 섭취, 특히 과당 때문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인공 감미료 역시 건강한 대안이 아니라는 의견도 제시되었다.[2][3]
영화는 1960년대에 등장한 행복점(Bliss Point)이라는 개념을 소개한다. 이는 식품 기업들이 제품의 매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첨가하는 설탕의 최적 양을 의미하며, 이 지점을 넘어서면 오히려 맛과 선호도가 떨어진다고 설명한다.
실험 종료 후, 가모는 설탕 섭취를 피하고 고기, 채소, 아보카도, 견과류 등을 중심으로 한 이전 식단으로 돌아갔다. 그 결과 실험으로 인해 나타났던 부정적인 건강 문제들은 빠르게 회복되는 모습을 보였다.
4. 영화 속 주요 개념
영화는 행복점(Bliss Point|블리스 포인트영어)이라는 개념을 소개한다. 이는 1960년대에 만들어진 용어로, 식품에 첨가되는 설탕의 양 중 사람이 가장 큰 맛과 행복감을 느끼는 최적의 지점을 의미한다. 행복점을 넘어서는 양의 설탕이 첨가되면 오히려 맛이 떨어진다고 설명된다. 영화는 식품 회사들이 이러한 행복점을 이용하여 소비자들이 제품을 계속 찾도록 만드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한다.
5. 출연진
이 영화에는 감독 데이먼 가뮤가 직접 출연하여 설탕 섭취 실험을 진행하며 이야기를 이끌어간다. 또한 휴 잭맨, 스티븐 프라이, 이사벨 루카스, 브렌튼 스웨이츠 등 여러 배우들이 출연하여 영화에 참여했다. 뉴욕 타임스 소속 저널리스트인 마이클 모스와 과학 저널리스트 개리 타우브스 등 전문가들의 인터뷰도 포함되어 있다. 감독의 파트너인 배우 조이 터크웰-스미스와 영화 제작 기간 중 태어난 그들의 딸 역시 영화에 등장한다. 사운드트랙에는 데페쉬 모드, 피터 가브리엘, 플로렌스 앤 더 머신의 곡이 수록되었다.
5. 1. 주연
이 영화의 주연은 감독이기도 한 데이먼 가뮤이다. 그는 건강에 해롭다고 알려진 설탕을 일정 기간 동안 매일 섭취하는 실험을 직접 진행하며 영화를 이끌어간다.
휴 잭맨은 영화 초반부에서 "설탕의 역사를 간결하게 말하겠습니다" (''This is the condensed history of sugar.'')라는 대사와 함께 인류가 설탕을 본격적으로 소비하게 된 역사를 유머러스하게 소개하는 역할을 맡았다. 그는 이 과정에서 "엘리자베스 1세는 설탕을 너무 많이 먹어서 이가 검고 엉망이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뉴욕 타임스 소속 저널리스트인 Michael Moss|마이클 모스영어와 과학 저널리스트인 Gary Taubes|개리 타우브스영어도 영화에 출연하여 가뮤와 인터뷰를 진행했다.
데이먼 가뮤의 파트너이자 배우인 Zoe Tuckwell-Smith|조이 터크웰-스미스영어는 남편의 실험 시작 전날 농담조로 "무사하길 바랍니다" (''I hope you're Okay.'')라고 말하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그녀는 실험 시작 당시 임신 중이었으며, 영화 제작 기간 중에 딸을 출산했고, 이 딸 역시 영화에 등장한다.
미국에서의 영화 평가는 대체로 긍정적이었다. 뉴욕 타임스는 "컴퓨터 영상, 뮤지컬, 스케치, 별난 현장 학습의 산뜻한 조화"를 통해 "영양학 수업을 쉽게 소화할 수 있게" 만들었다고 평가했다.[4][13] 할리우드 리포터 역시 "잠재적으로 어려운 주제를 대중이 쉽게 소비할 수 있도록 대체로 성공적으로 만들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5][14]
반면, 비판적인 시각도 있다. 미국의 시사 잡지 슬레이트는 "댓 슈가 필름은 너무나 가공되었고, 조잡하고 인위적인 주장으로 가득 차 있으며, 많은 약점이 소비자들에게 숨겨져 있다"고 지적했다.[2][10] 호주의 시드니 모닝 헤럴드 또한 영화 속 실험이 "어떤 것도 증명할 만큼 충분히 엄격하지 않다"며 비과학적이라고 비판했다.[6][15]
한편, SBS 오스트레일리아는 이 영화를 "호주에서 가장 성공적인 다큐멘터리 중 하나"로 묘사하며 그 영향력을 인정했다.[7] 또한 다큐멘터리 오스트레일리아 재단은 "'댓 슈가 필름'은 '건강한' 음식에 대한 당신의 생각을 영원히 바꿀 것이다"라고 언급하며 이 영화를 교육 자료로 추천하기도 했다.[8]
8. 한국 사회에 주는 시사점
이 영화는 설탕 과다 섭취 문제와 소위 '건강한' 음식에 숨겨진 설탕의 실체를 다루며, 한국 사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있다. 미국 뉴욕 타임스는 영화가 "컴퓨터 영상, 뮤지컬, 스케치, 별난 현장 학습의 산뜻한 조화"를 통해 "영양학 수업을 쉽게 소화할 수 있게" 만들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며,[4] 할리우드 리포터 역시 "잠재적으로 쓴 주제를 대중이 쉽게 소비할 수 있도록 대체로 성공적으로 달콤하게 만들었다"고 언급했다.[5] SBS 오스트레일리아는 이 영화를 "호주에서 가장 성공적인 다큐멘터리 중 하나"로 묘사하며 그 영향력을 언급했다.[7]
특히 다큐멘터리 오스트레일리아 재단이 이 영화를 "'건강한' 음식에 대한 당신의 생각을 영원히 바꿀 것"이라며 교육 자료로 추천한 점은[8], 한국에서도 식품 정보의 중요성과 건강한 식습관 형성에 대한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보여준다. 영화는 소비자들이 무심코 섭취하는 설탕의 양과 그 영향을 인지하고, 식품 선택에 있어 보다 비판적인 시각을 가질 필요성을 제기한다.
다만, 영화의 주장에 대한 비판적 시각도 존재한다. 호주 시드니 모닝 헤럴드는 영화의 방법론이 "어떤 것도 증명할 만큼 충분히 엄격하지 않다"고 지적했으며,[6] 미국 슬레이트는 "너무나 가공되었고, 조잡하고 인위적인 주장으로 가득 차서, 많은 약점이 소비자들에게 숨겨져 있다"고 평가하기도 했다.[2] 따라서 영화의 메시지를 받아들이는 데 있어 균형 잡힌 시각이 요구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